- 지역교육과정은 학교와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생태계 안에서 학생들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 주민이나 지역과 의미 있는 관계를 맺고, 맥락적인 경험을 통해 배우고, 앎과 삶을 통합하여 배움을 실천하는 교육과정입니다.
- 지역사람책(마을선생님) 및 지역교육활동가는 책임감과 자신의 활동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지역 거주자로서, 학교와 마을이 함께하는 지역 교육공동체의 다양한 교육활동을 함께 기획하고, 참여하고, 협력하는 지역주민을 말한다. 또한 지역의 발전이 지역 학생들의 교육 발전에 기반을 두고 있음을 인식하고, 학교 교육과정의 다양한 교육활동을 지역과 연계하고 지원하는 지역주민을 의미합니다.
- home
- 교육정보
- 더나은교육지구
- 지역 교육공동체 내실화
- 지역교육과정
지역교육과정
지역교육과정 내용시작

추진 목적
- 배움이 체험으로 구체화 되고, 경험을 통해 배우는 삶과 연계된 학습과 성장 지원
- 책임감과 전문성을 갖춘 지역 활동가와 함께하는 다양한 교육활동 지원
추진 방향
-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앎과 삶을 연결하고, 지역과 관계 맺는 교육과정
- 학교를 넘나드는 배움으로 학생의 자발성과 질문(호기심)이 살아있는 교육
- 자신의 삶과 주변의 문제에 대해 질문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시민교육
- 학습자를 둘러싸고 있는 지역과 상호협력적 관계를 형성하면서 지역 평생 학습생태계 구축
운영 원리
- 학습자 주도성
- 지역에 대한 관심을 교육과정으로 연계하는 교사 활동가
- 학생들의 학습과 경험을 삶과 연결하는 교사 전문성
- 평생학습자로 함께 성장하는 시민교육
-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위한 학교 자치
운영 예시
- 학교자율시간 운영 연계(세부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 참고)
-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주제중심, 사회참여, 문제해결 등 프로젝트 학습
- 창의적체험활동(동아리, 진로, 봉사활동, 학교 스포츠 등등)과 연계
- 자유학년제(자율, 동아리, 예술체육, 주제선택, 사람책 등등)
- 현장체험학습, 학교-마을축제 등 연계
- 인근 작은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 관계적 실천이 가능한 범위에서의 유초, 초중, 중고, 초중고 연계교육과정 등
운영 흐름도
교과 재구성을 통한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운영 예시
-
학교(가칭)지역교육협의체(교사, 개인 및 단체 지역교육활동가, 학부모 등) 구성
-
교육지원청, 학교지역 여건(사람, 장소, 역사, 문화, 생태, 지리, 산업 등)을 파악
-
학교관련 교과별/단원별 성취기준 분석을 통하여 지역교육과정 주제 선정(2월 교육과정 함께 디자인하기 활용)교육지원청지역교육활동가, 기관, 단체 활동가와 교사의 만남의 장 마련
-
학교주제에 따른 지역사람책(마을선생님)선정 및 사전 협의교육지원청지역 맞춤형 지역사람책(마을선생님) 및 지역 교육활동가 워크숍
-
학교주제에 따른 지역사람책(마을선생님) 선정, 성범죄 경력조회 후 위촉교육지원청단위학교에서 위촉한 지역사람책(마을선생님) 인력풀 구성 및 지역 내 공유
-
학교주제에 따른 교실수업 과정, 지역 수업 과정, 수업나눔 계획 수립 및 수업 과정별 활동 방법 및 역할 분담
※ 지역사람책(마을선생님), 단체, 기관 등의 지역교육활동가들과 계획 단계부터 함께 협의교육지원청학습공동체 활동 등을 통한 지역 연계 지역 교육과정 개발 지원
※ 지역교재, 지역교육과정 홈페이지 등 -
학교지역교육과정 운영(수업-평가-기록 내실화 연계)교육지원청단위학교에서 위촉한 지역사람책(마을선생님) 인력풀 구성 및 지역 내 공유
-
학교지역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 협의회 및 환류 방법 논의교육지원청지역사람책(마을선생님) 및 지역교육과정 운영 사례 나눔의 시간 운영
-
교육지원청, 학교다음 년도 지역교육과정 및 지역사람책 운영 방안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