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등 교육과정
초·중등 교육과정 내용시작
교육과정의 이해 내용시작
좌우 스크롤이 가능합니다.
1차 | 1954.04.20 | 문교부령 제35조 | 시간배당기준령 |
|
---|---|---|---|---|
1955.08.01 | 문교부령 제44조 | 국민학교교과과정 | ||
1955.08.01 | 문교부령 제45조 | 중학교교과과정 | ||
1955.08.01 | 문교부령 제46조 | 고등학교교과과정 | ||
1969.2.19 | 문교부령 제207호 | 유치원 교육과정 | ||
2차 | 1962.02.15 | 문교부령 제119조 | 국민학교교육과정 |
|
1963.02.15 | 문교부령 제120조 | 중학교교육과정 | ||
1963.02.15 | 문교부령 제121조 | 고등학교교육과정 | ||
1979.03.01 | 문교부 고시 제424호 | 유치원교육과정 | ||
3차 | 1973.02.14 | 문교부령 제310조 | 국민학교교육과정 |
|
1973.08.31 | 문교부령 제325조 | 중학교교육과정 | ||
1974.12.31 | 문교부령 제350조 | 고등학교교육과정 | ||
1981.12.31 | 문교부 고시 제442호 | 유치원교육과정 | ||
4차 | 1981.12.31 | 문교부 고시 제442호 | 국민학교교육과정 |
|
1981.12.31 | 문교부 고시 제442호 | 중학교교육과정 | ||
1981.12.31 | 문교부 고시 제442호 | 고등학교교육과정 | ||
1984.06.30 | 문교부고시 제87-9호 | 유치원 교육과정 | ||
5차 | 1987.03.31 | 문교부 고시 제87-7호 | 중학교교육과정 |
|
1987.06.30 | 문교부 고시 제87-9호 | 국민학교교육과정 | ||
1988.03.31 | 문교부 고시 제87-7호 | 고등학교교육과정 | ||
1992.09.30 | 문교부 고시 제1992-15 | 유치원교육과정 | ||
6차 | 1992.06.30 | 문교부 고시 제1992-11호 |
중학교교육과정 |
|
1998.06.30 | 문교부 고시 제1998-10호 |
유치원교육과정 | ||
1992.09.30 | 문교부 고시 제1992-16호 |
국민학교교육과정 | ||
1992.10.30 | 문교부 고시 제1992-17호 |
고등학교교육과정 | ||
7차 | 1997.12.30 | 문교부 고시 제1997-15호 |
초·중등학교교육과정 |
|
1998.06.30 | 문교부 고시 제1998-11호 |
특수학교교육과정 | ||
문교부 고시 제1998-12호 |
고등기술학교교육과정 | |||
2007 개정교육과정 | 2006.08.29 | 교육부 고시 제2006-75호 |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
|
2007.02.28 | 교육부 고시 제2007-79호 |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개정 |
||
2007.12.19 |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153호 |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
||
교육과정자율화 | 2009.06.11 |
|
||
2009 개정교육과정 | 2009.12.23 |
방향
|
||
2010.05.12.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0-24호 |
|
||
2011.08.09.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
|
||
2012.03.21.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3호 |
|
||
2012.07.09.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 |
|
||
2012.12.07.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29호 |
|
||
2012.12.13.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31호 |
|
||
2013.12.18. | 교육부 고시 제2013-7호 |
|
||
2015.9.23. |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
방향
|
7차 교육과정 내용시작
관련문서 다운로드
제7차교육과정의 중점 추진 방침
- 2002년까지 제7차 교육과정 대책위원회 설치·운영(위원장:부교육감)
- 제7차 학교급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고시
- 지역교육청·학교 교육과정 위원회 구성 운영의 활성화
- 제7차 교육과정 시행대비 인력, 시설, 설비, 자료개발 지원, 지역교과서 및 인정도서 편찬, 보급
- 교육과정 연구학교의 지정 운영
- 교과교육 연구회 및 연구교사 지원
-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지원 및 평가
- 제7차 교육과정 시행대비 업무 자체 점검 실시
- 전담반 한시 설치 운영(2000.3.1 ~ 2005.2.28)
제7차교육과정의 특징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편성과 학생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도입
-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를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10년)으로 설정하여 학년에 따라 일관성 있는 교육을 실시합니다.
- 고등학교 2, 3학년에서는 교과에 따라 일반 선택과 심화 선택으로 나누고, 다양한 과목을 개설하여 과정, 계열의 구분없이 운영함으로써 학생의 선택폭을 넓혔습니다.
재량 활동의 신설, 확대
- 자기주도 학습의 신장을 위한 범교과 활동 재량 시간을 학교, 교사, 학생이 함께 선택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교과별 학습량의 최적화와 수준의 조정
-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교과별 최저 필수 요소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정선하고 이수과목의 축소와 범위의 수준도 조정하였습니다.
질 관리 중심의 교육과정 평가체제 확립
- 학생이 성취해야 할 교과별 성취 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에 따라 학력을 평가합니다.
- 학교별로 편성하는 교육과정의 평가체제도 확립합니다.
정보화사회에 대비한 창의성, 정보 능력 배양
-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컴퓨터 교육과 개방적, 창의적 교육 활동을 강화합니다.
수시 개정
2007 개정 교육과정 내용시작
관련문서 다운로드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권 확대
재량활동 운영의 학교 자율권 확대시간수의 증감 등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권 부여
-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를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10년)으로 설정하여 학년에 따라 일관성 있는 교육을 실시합니다.
- 초등학교 재량활동 학교 자율적 운영
- 중·고교 재량활동 영역별 시간 배당 기준을 시·도교육청의 편성·운영 지침에 따라 학교에서 편성
“교과 집중이수제” 도입
-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과의 경우 학기 또는 학년 단위 집중이수가 가능하도록 허용
특성화 학교, 자율학교 등에 교과목별 수업 시간수의 증감 등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권 부여
- 학교의 설립 목적 및 특성에 따른 교육이 가능하도록 자율권 부여(교육과정에 근거 마련)
-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은 총 이수 단위(시간) 내에서 교과별 이수 단위 시간 수 증감 허용
- 국민공통기본교과 외의 선택과목은 단위 학교별 특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편성·운영 가능
국가·사회적 요구 사항의 반영
과학교육 강화
- 미래 무한경쟁 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의 확보를 위해 과학적 기초 소양 교육 필요
- 고등학교 1학년 과학과 수업시수 확대 : 주당 3시간 → 4시간
역사교육 강화
- 주변국들의 역사 왜곡에 대한 능동적 대처 및 세계화 시대에 적합한 역사 교육 필요
- ‘사회’ 교과 내에서 중등 ‘역사’ 과목(국사+세계사)의 독립
- 고등학교 1학년 역사 과목 수업시수 확대 : 주당 2시간 → 3시
- 고등학교 선택과목 ‘동아시아사’ 신설
기타 국가·사회적 요구사항의 반영
-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에서 범교과 학습 내용으로 반영토록 제시
-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반영(단원 및 제재 등)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개선
재량활동 운영의 학교 자율권 확대시간수의 증감 등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권 부여
- 단위 학교 교육과정의 특성화를 촉진하고,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하며,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구현
고교 선택과목 일원화
- 일반선택 과목과 심화선택 과목을 선택 과목으로 일원화
선택과목군 조정
- 선택 과목군을 6개 과목군으로 조정
-
예체능 과목군(체육, 음악, 미술) ⇒ 체육과목군(체육)/예술과목군(음악, 미술)
- 다른 과목군은 현행 유지
- 입시위주의 편중 선택을 방지하고 지덕체의 조화로운 인성교육 필요
- 폭 넓은 교양교육을 통해 문화적 창의성을 길러 문화 분야 국가 경쟁력 증대
- 성장기에 필요한 신체활동 기회 제공
수업시수 일부 조정
주5일 수업제 월2회 시행에 따른 수업시수 감축 반영
- 국가 수준에서 기준(지침)을 제시하되 학교급별 특성에 따라 감축 방안의 차별적 제시
- 초1·2학년 : 감축 없음
- 초3학년 ~ 고3학년 : 주당 1시간 감축
기타
- 선택 과목에 배당된 132단위 중 학생의 선택을 최소 28단위 이상으로 하도록 함(시·도 교육청 지침에 의거)
- 시·도교육청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및 지역교육청의 장학자료 작성 시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에 관한 사항 추가
- 계기 교육에 대한 근거 마련
- 시·도 교육청의 학업 성취도 평가, 교육과정 편성·운영 평가 등에 대한 근거 마련
학교교육과정 자율화 방안 내용시작
관련문서 다운로드
교육과정 자율화 추진 내용
교육과정 자율화 과제의 주요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이 교육과정 자율화 과제는 현재 학교에서 시행 중인 ‘제7차 교육과정’이나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유연성 있게 적용하도록 한다.
좌우 스크롤이 가능합니다.
구분 | 학년 | 개선 내용 | 비고 |
---|---|---|---|
교과활동 | 초1~고1 |
|
|
고2~3 |
|
||
|
|||
재량활동·특별활동 | 초1~고1 |
|
- ①,②,⑤ : ’10학년도부터 추가로 자율권 부여
- ③,④,⑥ : ’09학년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되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을 ’10년도에 일률적 조기 시행
적용 시기
- 2010학년도부터 적용하되, ‘제7차 교육과정’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 시기와 연계하도록 한다.
학교급별 일반 사항
- 국민 공통 기본 교과별로 연간 수업 시수의 20% 범위 내의 증감 운영
- 교과별로 학년, 학기 단위 집중 이수 확대(중1~고3 공통)
- 재량 활동과 특별 활동의 통합 운영
초등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
교과별 연간 수업 시수 증감 범위
좌우 스크롤이 가능합니다.
구분/학년 | 1학년 기준 시수 (증감 범위) | 2학년 기준 시수 (증감 범위) | |
---|---|---|---|
교과 | 국어 | 210(168~252) | 238(191~285) |
수학 | 120(96~144) | 136(109~163) | |
바른 생활 | 60 (48~72) | 68 (55~81) | |
슬기로운 생활 | 90(72~108) | 102 (82~122) | |
즐거운 생활 | 180(144~216) | 204 (164~244) | |
우리들은 1학년 | 80(64~96) | ||
재량 활동 | 60 | 68 | |
특별 활동 | 30 | 34 | |
연간 총 수업시간 수 | 830 | 850 |
구분/학년 | 3학년 기준 시수 (증감 범위) | 4학년 기준 시수 (증감 범위) | 5학년 기준 시수 (증감 범위) | 6학년 기준 시수 (증감 범위) | |
---|---|---|---|---|---|
교과 | 국어 | 238 (191~285) | 204(164~244) | 204 (164~244) | 204(164~244) |
도덕 | 34(28~40) | 34(28~40) | 34(28~40) | 34(28~40) | |
사회 | 102(82~122) | 102(82~122) | 102(82~122) | 102(82~122) | |
수학 | 136(109~163) | 136(109~163) | 136(109~163) | 136(109~163) | |
과학 | 102(82~122) | 102(82~122) | 102(82~122) | 102(82~122) | |
실과 | 68(55~81) | 68(55~81) | |||
체육 | 102(82~122) | 102(82~122) | 102(82~122) | 102(82~122) | |
음악 | 68(55~81) | 68(55~81) | 68(55~81) | 68(55~81) | |
미술 | 68(55~81) | 68(55~81) | 68(55~81) | 68(55~81) | |
외국어(영어) | 68(55~81) | 68(55~81) | 102(82~122) | 102(82~122) | |
재량 활동 | 68 | 68 | 68 | 68 | |
특별 활동 | 34 | 68 | 68 | 68 | |
연간 총 수업시간 수 | 1,020(986) | 1,020(986) | 1,122(1,088) | 1,122(1,088) |
중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
교과별 연간 수업 시수 증감 범위
좌우 스크롤이 가능합니다.
구분/학년 | 7학년(중1) 기준 시수 (증감 범위) |
8학년(중2) 기준 시수 (증감 범위) |
9학년(중3) 기준 시수 (증감 범위) |
||
---|---|---|---|---|---|
교과 | 국어 | 170 (136~204) | 136 (109~163) | 136 (109~163) | |
도덕 | 68 (55~81) | 68 (55~81) | 34 (28~40) | ||
사회 | 사회 | 102 (82~122) | 102 (82~122) | 136 (109~163) | |
역사 | |||||
수학 | 136 (109~163) | 136 (109~163) | 102 (82~122) | ||
과학 | 102 (82~122) | 136 (109~163) | 136 (109~163) | ||
기술ㆍ가정 | 68 (55~81) | 102 (82~122) | 102 (82~122) | ||
체육 | 102 (82~122) | 102 (82~122) | 68 (55~81) | ||
음악 | 68 (55~81) | 34 (28~40) | 34 (28~40) | ||
미술 | 34 (28~40) | 34 (28~40) | 68 (55~81) | ||
외국어(영어) | 102 (82~122) | 102 (82~122) | 136 (109~163) | ||
재량 활동 | 102 | 136 | 136 | ||
특별 활동 | 68 | 68 | 68 | ||
연간 총 수업시간 수 | 1,122 | 1,156 (1,122) | 1,156 (1,122) |
- 7학년(중1)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8~9학년(중2~3)은 7차 교육과정을 적용한 시간 배당임
- 연간 총 수업 시간 수의 ( )안의 숫자는 주 5일 수업에 따라 34시간 범위 내에서 감축 운영할 수 있는 최소 운영 시간수임
- 교과별 수업 시간의 순수 증배를 통하여 연간 총 수업시간 수를 초과 운영할 수 있다.
- 20% 증감에 따른 이수 시간의 기재는 교무업무시스템에 다음과 같이 반영한다.
- 학교생활기록부에 교과 시수 증감 이수 내용을 기록할 경우, 교과 학습 발달 상황의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란에 기재함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
교과별 연간 수업 시수 증감 범위
좌우 스크롤이 가능합니다.
교과 | 시수 증감 범위 | 단위 증감 범위 | ||
---|---|---|---|---|
기준 시수 (증감 범위) | 기준 단위 | 20% 증감 | 증감범위 | |
국어 | 136(109~163) | 8 | 1.6 | ±2 |
도덕 | 34(28~40) | 2 | - | - |
사회 (국사) | 102(82~122)(68)(55~81) | 6 (4) | 1.2 (0.8) | ±1 (±1) |
수학 | 136(109~163) | 8 | 1.6 | ±2 |
과학 | 102(82~122) | 6 | 1.2 | ±1 |
기술·가정 | 102(82~122) | 6 | 1.2 | ±1 |
체육 | 68(55~81) | 4 | 0.8 | ±1 |
음악 | 34(28~40) | 2 | - | - |
미술 | 34(28~40) | 2 | - | - |
외국어(영어) | 136(109~163) | 8 | 1.6 | ±2 |
재량 활동 | 204 | 12 | - | - |
특별 활동 | 68 | 4 | - | - |
연간 총 수업시간 수 | 1,224 (1,190) | 72 (70) |
- 교과별 기준 시수는 7차 교육과정을 적용한 시간 배당임(단, 수학, 영어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적용)
-
연간 총 수업 시간 수의 ( )안의 숫자는 주 5일 수업에 따라 34시간(2단위) 범위 내에서 감축 운영할 수 있는 최소 운영 시간(단위) 수임
- 1단위학교의 여건을 고려하여 ‘시수’, ‘단위’, ‘시수와 단위 혼용’ 방식 중에서 선택하여 운영할 수 있다.
- - 이수 단위로 적용할 경우 소수점 이하에서 반올림하여 단위를 산정할 수 있음
- - 단위를 반올림하여 증감의 합이 20%를 초과할 경우 예외 사항으로 인정함
- 220% 증감에 따른 교과의 이수 시간 혹은 이수 단위는 교무업무시스템에 다음과 같이 반영한다.
- - 수업 시수 증감이 17시간 미만인 경우 이수 단위로 인정하지 않으나, 17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이수 단위수로 인정함
- - 학교생활기록부에 교과 시수 증감의 내용을 기록할 경우, 교과 학습 발달 상황의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란에 기재함
- - 학생별(과정별)로 동일 교과의 이수 단위수가 다를 경우, 평가는 단위학교의 학업성적관리지침에 따름
- 1단위학교의 여건을 고려하여 ‘시수’, ‘단위’, ‘시수와 단위 혼용’ 방식 중에서 선택하여 운영할 수 있다.
자율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추진 내용
자율학교의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좌우 스크롤이 가능합니다.
구분 | 내용 | 비고 |
---|---|---|
초·중학교 | 일반 학교와 동일하게 운영 -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교과별로 연간 수업 시수의 20% 범위 내에서 증감 운영 허용 | 학교 특성에 따라 학년군 및 교과군 도입 운영 허용 일반 학교에 허용된 자율권 모두 허용 |
고등학교 |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교과별로 연간 수업 시수의 35% 범위 내에서 증감 운영 허용 고 2·3학년 선택 중심 교육과정 과목 및 이수 단위 자율 편성 |
- 학년군 : 2~3개 학년을 묶어 최소 수업 시수를 제시함으로써 운영에 탄력성 부여
- 교과군 : 유사 과목을 묶어서 최소 수업 시수를 제시함으로써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 운영 가능
2009 개정 교육과정 내용시작
관련문서 다운로드
교육과정의 성격
- 국가 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이다.
-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이다.
- 교육청과 학교, 교원·학생·학부모가 함께 실현해 가는 교육과정이다.
- 학교 교육 체제를 교육과정 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 교육의 과정과 결과의 질적 수준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추구하는 인간상
-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
-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사람
학교 급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초등학교
초등학교 교육목표
초등학교의 교육은 학생의 학습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 능력 배양과 기본 생활 습관을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 풍부한 학습 경험을 통해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균형 있게 자랄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일의 세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한다.
- 학습과 생활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기초 능력을 기르고, 이를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상상력을 키운다.
- 우리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문화를 향유하는 올바른 태도를 기른다.
-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하며 타인과 공감하고 협동하는 태도를 기른다.
편제와 시간 배당
-
편제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한다.
- 교과(군)는 국어, 사회/도덕, 수학, 과학/실과,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로 한다. 다만, 초등학교 1, 2학년의 교과는 국어, 수학,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로 한다.
-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으로 한다.
-
시간 배당 기준
- 이 표에서 1시간 수업은 40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등과 학교 실정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 학년군 및 교과(군)별 시간 배당은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한 2년간의 기준수업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 학년군별 총 수업시간 수는 최소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 실과의 수업 시간은 5~6학년 과학/실과의 수업시수에만 포함된 것이다.
좌우 스크롤이 가능합니다.
초등학교 시간 배당기준 : 학년별로 교과(군)에 따라 수업시간 수를 안내합니다. 구분 1~2학년 3~4학년 5~6학년 교과(군) 국어 국어 ( 448 )
수학 ( 256 )
바른 생활 ( 128 )
슬기로운 생활 ( 192 )
즐거운 생활 ( 384 )408 408 사회/도덕 272 272 수학 272 272 과학/실과 204 340 체육 204 204 예술(음악/미술) 272 272 영어 136 204 창의적 체험활동 272 204 204 학년군별 총 수업시간 수 1,680 1,972 2,176
중학교
중학교 교육목표
중학교의 교육은 초등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학습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 능력과 바른 인성, 민주 시민의 자질 함양에 중점을 둔다.
- 심신의 건강하고 조화로운 발달을 토대로 바른 인성을 기르고, 다양한 분야의 경험과 지식을 익혀 적극적으로 진로를 탐색한다.
- 학습과 생활에 필요한 기초 능력과 문제 해결력을 바탕으로 창의적 사고력을 기른다.
-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다양한 문화와 가치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 타인과 공감하고 소통하는 능력, 배려하는 마음,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갖춘다.
편제와 시간 배당
-
편제
중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한다.
- 교과(군)는 국어, 사회(역사 포함)/도덕, 수학, 과학/기술·가정,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 선택으로 한다. 선택은 한문, 정보, 환경과 녹색성장, 생활 외국어(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보건, 진로 와 직업 등 선택 과목으로 한다.
-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으로 한다.
-
시간 배당 기준
- 이 표에서 1시간 수업은 45분을 원칙으로,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등과 학교 실정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 학년군 및 교과(군)별 시간 배당은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한 3년간의 기준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 총 수업시간 수는 3년간의 최소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좌우 스크롤이 가능합니다.
초등학교 시간 배당기준 : 학년별로 교과(군)에 따라 수업시간 수를 안내합니다. 구분 1~3학년 교과(군) 국어 442 사회(역사 포함)/도덕 510 수학 374 과학/기술·가정 646 체육 272 예술(음악/미술) 272 영어 340 선택 204 창의적 체험활동 306 총 수업시간 수 3,366
고등학교
고등학교 교육목표
고등학교 교육은 중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 개척 능력과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중점을 둔다.
- 성숙한 자아의식을 토대로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능을 익혀 진로를 개척하며 평생학습의 기본 역량과 태도를 갖춘다.
- 학습과 생활에서 새로운 이해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익힌다.
- 우리의 문화를 향유하고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수용할 수 있는 자질과 태도를 갖춘다.
- 국가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더불어 살아가며 협동하는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기른다.
편제와 시간 배당
-
편제
-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한다.
-
교과는 보통 교과와 전문 교과로 한다.
- 보통 교과는 기본 과목과 일반 과목, 심화 과목으로 구분한다. 보통 교과 영역은 기초, 탐구, 체육·예술, 생활·교양으로 구성하며, 교과(군)는 국어, 수학, 영어, 사회(역사/도덕 포함), 과학, 체육, 예술(음악/미술), 기술·가정/제2외국어/한문/교양으로 한다.
- 전문 교과는 농생명 산업, 공업, 상업 정보, 수산·해운, 가사·실업 등에 관한 교과로 한다.
-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으로 한다.
-
시간 배당 기준
-
1일반 고등학교(자율 고등학교 포함)와 특수 목적 고등학교(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제외)
- 1단위는 50분을 기준으로 하여 17회를 이수하는 수업량이다.
- 1시간의 수업은 50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등과 학교 실정을 고려하여 탄력적 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 필수 이수 단위의 단위 수는 해당 교과(군)의 ‘최소 이수 단위’를 가리킨다.
- ( )안의 숫자는 특수 목적 고등학교와 자율형사립고등학교가 이수할 것을 권장한다.
- 창의적 체험활동의 단위는 최소 이수 단위 이며 ( )안의 숫자는 이수 단위를 이수 시간 수로 환산한 것이다.
- 총 이수 단위 수는 고등학교 3년간 이수해야 할 ‘최소 이수 단위’를 가리킨다.
- 기초 교과 이수단위가 교과 총 이수단위의 5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단,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이 규정을 권장한다.
좌우 스크롤이 가능합니다.
중학교 시간 배당기준 : 학년별로 교과(군)에 따라 수업시간 수를 안내합니다. 구분 교과영역 교과(군) 필수 이수 단위 학교 자율 과정 교과(군) 기초 국어 10 학생의 적성과 진로를 고려하여 편성 수학 10 영어 10 탐구 사회(역사/도덕 포함) 10 과학 10 체육·예술 체육 10 예술(음악/미술) 10(5) 생활·교양 기술·가정/제2외국어/한문/교양 16(12) 소계 86(77) 94(103) 창의적 체험활동 24(408시간) 총 이수 단위 204 -
2특성화 고등학교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 1단위는 50분을 기준으로 하여 17회를 이수하는 수업량이다.
- 1시간의 수업은 50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등과 학교 실정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 교과 영역별 필수 이수 단위는 ‘최소 이수 단위’이며 계열, 학교 및 학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편성하되, 교과 영역별로 교과(군)을 균형 있게 편성한다.
- 창의적 체험활동의 단위는 최소 이수 단위 이며 ( )안의 숫자는 이수 단위를 이수 시간 수로 환산한 것이다.
- 총 이수 단위 수는 고등학교 3년간 이수해야 할 ‘최소 이수 단위’를 가리킨다.
좌우 스크롤이 가능합니다.
고학교 시간 배당기준 : 학년별로 교과(군)에 따라 수업시간 수를 안내합니다. 구분 교과영역 교과(군) 필수 이수 단위 학교 자율 과정 교과(군) 보통교과 기초 국어 25 학생의 적성·진로와 산업계 수요를 고려하여 편성(29) 수학 영어 탐구 사회(역사/도덕 포함) 15 과학 체육·예술 체육 10 예술(음악/미술) 5 생활·교양 기술·가정/제2외국어/한문/교양 10 소계 65 전문교과 농생명 산업, 공업, 상업 정보, 수산·해운, 가사·실업 등 86 창의적 체험활동 24(408시간) 총 이수 단위 204
-
1일반 고등학교(자율 고등학교 포함)와 특수 목적 고등학교(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제외)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시작
관련문서 다운로드
교육과정의 성격
- 국가 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이다.
-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이다.
- 학교와 교육청, 지역사회, 교원・학생・학부모가 함께 실현해 가는 교육과정이다.
- 학교 교육 체제를 교육과정 중심으로 구현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 학교 교육의 질적 수준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추구하는 인간상
- 전인적 성장을 바탕으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진로와 삶을 개척하는 자주적인 사람
-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사람
-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류 문화를 향유하고 발전시키는 교양 있는 사람
-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
학교 급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초등학교 교육목표
초등학교 교육은 학생의 일상생활과 학습에 필요한 기본 습관 및 기초 능력을 기르고 바른 인성을 함양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 자신의 소중함을 알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기르며, 풍부한 학습 경험을 통해 자신의 꿈을 키운다.
- 학습과 생활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기초 능력을 기르고, 이를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상상력을 키운다.
- 다양한 문화 활동을 즐기고 자연과 생활 속에서 아름다움과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심성을 기른다.
- 규칙과 질서를 지키고 협동정신을 바탕으로 서로 돕고 배려하는 태도를 기른다.
중학교 교육목표
중학교 교육은 초등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일상생활과 학습에 필요한 기본 능력을 기르고 바른 인성 및 민주 시민의 자질을 함양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바탕으로 자아존중감을 기르고,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통해 적극적으로 삶의 방향과 진로를 탐색한다.
- 학습과 생활에 필요한 기본 능력 및 문제 해결력을 바탕으로, 도전정신과 창의적 사고력을 기른다.
-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서 경험한 내용을 토대로 우리나라와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기른다.
-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서 경험한 내용을 토대로 우리나라와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기른다.
고등학교 교육목표
고등학교 교육은 중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적성과 소질에 맞게 진로를 개척하며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 성숙한 자아의식과 바른 품성을 갖추고, 자신의 진로에 맞는 지식과 기능을 익히며 평생학습의 기본 능력을 기른다.
-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융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기른다.
- 인문・사회・과학기술 소양과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화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자질과 태도를 기른다.
- 국가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을 바탕으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며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기른다.